Sung, Kim, Yong, Lee, Lee, Lee, Chae, Lee, and Helicobacter Study Group: Multicenter Study on the Association of Positive Helicobacter pylori Stool Antigen to Anemia in Children

Heungsup Sung1Mi-Na Kim1Dongeun Yong2Miae Lee3Jongwook Lee45Mi-Kyung Lee6Hiun Suk Chae7Hae Kyung Lee8Helicobacter Study Group

1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Korea
2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Korea
3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Korea
4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nyang University Hospital, DaejeonKorea
5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Jincheon Sungmo Hospital, JincheonKorea
6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Chung-Ang University Hospital,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Korea
7Pediatrics Seoul St. Mary’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Korea
8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and 8Laboratory Medicine, Uijeongbu St. Mary's Hospital,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UijeongbuKorea


*Corresponding author: Tel: +82-31-820-3959, ,Fax: +82-31-847-6266, E-mail: hkl@catholic.ac.kr


ABSTRACT

Background: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causes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iron deficiency anemi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rends in H. pylori stool antigen (HpSA) positivity in childre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pSA test results and anemia.

Methods: We analyzed the results of 2,762 HpSA tests and the correlation of hemoglobin and ferritin with HpSA in patients aged 0-18 years from 2008 to 2014 at a tertiary care center. Additionally, we prospectively evaluated HpSA test results and correlation with hemoglobin in 352 specimens obtained from five centers.

Results: From 2008-2014, the mean positive rate of the HpSA test was 5.8%, with a high of 9.1% in 2012 and a low of 2.3% in 2013. The positive rate correlated with age: 2.9% in 0-6-year-olds, 5.8% in 7-12-year-olds, and 10.6% in 13-18-year-olds (P<0.0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HpSA positivity in patients with (7.0%) and without (5.7%) anemia. Ferrit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positive HpSA results than in those with negative results (P=0.0001). In a multicenter study, the positive rate of HpSA was 16.8%.

Conclusion: The rate of HpSA positivity was 5.8% in pediatric patients at a single center from 2008-2014, and this rate increased with age.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may be associated with iron deficiency, as ferriti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HpSA-positive patients than HpSA-negative patients. (Ann Clin Microbiol 2018;21:58-63)

Keywords



INTRODUCTION

Helicobacter pylori는 그람 음성 나선형 세균으로 만성 전정 부 위염, 소화성 궤양, 위선암과 위의 MALT 림프종의 원인으 로 알려져 있다[1,2]. H. pylori 진단법은 내시경 시행 여부에 따 라 침습적 검사법과 비침습적 검사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침 습적 검사법에는 조직검사 및 배양검사, 조직을 이용한 신속요 소분해효소검사, 분자검사 등이 있다. 비침습적 검사법에는 요 소호기검사, 대변항원검사 및 혈청학적 검사 등이 있다[3]. 이 중 대변에서 H. pylori 항원을 검출하는 것은 검사가 상대적으 로 간편하고 신속하기 때문에 H. pylori의 진단 및 치료 효과 판정 시 유용하다. 특히 대변항원검사는 혈액 채취에 따른 부 담이 없으며, 호기의 조절이 어려운 영유아 연령에서도 소량의 대변 검체만 채취하면 쉽게 검사를 시행할 수 있고 검사 전 금 식이 필요 없다는 장점으로 소아에서 주로 사용된다. 대변항원 검사는 요소호기검사와 함께 처음 진단 및 제균 이후 검사에서 추천되는 검사 방법이다. 대변항원검사는 전통적으로 효소결 합면역흡착검사 방법을 주로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면역크 로마토그래피법도 이용 가능하다[4].

H. pylori 양성인 소아에서 철분 결핍과 철결핍성 빈혈의 유 병률이 H. pylori 음성인 소아보다 높고, 철분 치료에 반응이 없 는 불응성 빈혈(refractory anemia) 소아에게 H. pylori 제균 치 료를 했을 때 혈액학적 지표가 호전되었다는 보고 등으로 미루 어 H. pylori 감염은 다른 원인으로 설명이 되지 않는 불응성 철결핍성 빈혈의 원인일 것으로 추정되었다[5-7].

본 연구에서는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 환자와 빈혈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2015년 국내 5개 병원 소아 환자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를 전향적으로 실시하여 양성 결과와 혈색 소 농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2008년부터 검사를 실시 하였던 단일 기관은 후향적으로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소아 환자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양성 결과와 혈색소의 상관 성을 분석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1. 대상

단일기관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 추세는 서울 지역 3차 의료기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 2,762건의 대변항원검사 결과를 연도별, 연령별로 분석하였다.

다기관 연구는 서울 지역의 3차 의료기관 3곳, 경기 지역의 2차 의료기관 1곳, 충북 지역의 2차 의료기관 1곳에서 총 352 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2015년 1월부터 5월까지 H. pylori 대변 항원검사를 시행하였다.

각각의 참여 기관은 해당 병원의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심 의를 거친 후 연구를 시행하였다

2. ELISA를 이용한 H. pylori 대변항원검사

단일기관 연구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EZ-STEP H. pylori Ag ELISA (Dinona Inc., Seoul, Korea) 키트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검사하였다. 대변 채집용 막대를 이용하여 직경 5 mm 정도의 대변을 희석액 400 μL와 혼합한 후 2,000 rpm에 서 2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사용하였다. 준비된 상층액을 H. pylori 항체가 코팅된 마이크로웰에 분주하였다. 혼합접합체 2방울을 각 마이크로웰에 분주한 후 30초간 혼합하여 1시간 동 안 실온에 두었다. 1시간 후 완충세척액으로 6회 세척한 후 각 마이크로웰에 기질용액 2방울씩 분주하였다. 15분 동안 실온에 방치한 후 반응 정지액 2방울씩을 첨가하였다. 흡광계로 측정 파장 450 nm, 참조파장 620 nm에서 흡광도를 얻었다.

3. 면역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H. pylori 대변항원검사

다기관 연구에서 대변항원검사는 ASAN Easy Test H.pylori Ag 키트(Asan Pharm. Co., LTD., Seoul, Korea)를 사용하였으 며, 제조사의 지침대로 검사하였다. 검체 희석액 용기 상단의 연두색 사각형 뚜껑에 부착되어 있는 흰색봉으로 대변을 5-6회 깊게 찔러 대변 약 10 mg 정도를 채취해 검체 희석액 용기에 다시 넣고 뚜껑을 닫았다. 대변과 검체 희석액이 완전히 혼합 되도록 흔든 후 검체 희석액 용기 하단의 연두색 원형 뚜껑을 열어서 dropper를 노출시켰다. Dropper를 이용하여 분변 희석 액 2방울을 디바이스의 검체 적하부에 떨어뜨렸다. 10-15분 뒤 에 판독하여 두 개의 붉은색 선이 나오면 양성, 대조선에만 붉 은색이 나오면 음성으로 판독하였다.

4. 빈혈

단일기관 연구에서 대상 환아들은 영유아의 특성상 급성 감 염으로 ferritin 수치가 증가하여 감염에 의한 빈혈과 철결핍성 빈혈이 혼재된 빈혈이 있을 수 있으므로 혈색소와 혈청 ferritin 수치를 기준으로 염증성 빈혈, 철결핍성 빈혈, 정상 유아군, 미 분류 빈혈로 세분화하였다. 혈색소는 Sysmex XE-2100 자동혈 구분석기(Sysmex Corporation, Japan)로 검사하였으며, 혈청 ferritin은 직접 화학발광을 이용한 two-site sandwich immunoassay (ADVIA Centaur;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Deerfield, IL, USA)로 검사하였다. 염증성 빈혈군은 혈색소 <11 g/dL, 혈청 ferritin >50 μg/L인 경우, 철결핍성 빈혈군은 Hb <11 g/dL, 혈청 ferritin >12 μg/L인 경우, 정상군은 Hb ≥11 g/dL, 혈청 ferritin ≥12 μg/L인 경우, 그리고 미분류 빈혈군은 Hb <11 g/dL, 혈청 ferritin 12-50 μg/L인 경우로 정의하였다[8].

다기관 연구에서는 H. pylori 대변항원검사와 혈색소 결과만 을 비교하였다.

5. 통계 분석

결과값들은 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하였다. 3개 집단의 양성 률 비교는 3×2 분할표(contingency table) chi-square 검사 또는 3×2 분할표 extended Fisher’s exact 검사를 사용하여 검정하였 다. 두 군의 평균의 비교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검증하였 다. 3군 이상의 평균의 비교는 Levene의 등분산 검증을 실시하 여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으면, Kruskal-Wallis one-way ANOVA 검증을 사용하였으며, Conover 방법으로 사후 검증하였다. 통 계분석은 SPSS Statistics version 23.0을 사용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RESULTS

1. 단일기관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연도별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은 Table 1과 같다. 연 도별 양성률은 2013년이 2.3%로 가장 낮았고, 2012년 9.1%로 가장 높았다. 2012년의 양성률은 2011년의 양성률(5.0%)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414), 2013년의 양성률(2.3%)보다도 유 의하게 높았다(P <0.0001). 2012년 8월에는 양성률이 20.0% (9/45)로 가장 높았으며, 8월을 제외한 2012년 양성률은 7.3% (20/273)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각각 8.6±3.8세, 9.2±3.7세, 8.9±3.9세, 9.1±4.0세, 8.6±4.3세, 9.1±4.2세, 9.4±4.2세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30).

연령별 양성률은 0-6세는 2.9% (27/942), 7-12세 5.8% (72/1,252), 13-18세 10.6% (60/568)로 연령군에 따라 양성률이 증가하였다(P <0.0001) (Fig. 1).

Table 1

Positive and equivocal rate of Helicobacter pylori stool antigen by ELISA test from 2008 to 2014 in a tertiary care hospital

Characteristics Year Total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Tested samples 404 488 414 337 318 384 417 2,762
No. of positive samples (%) 34 (8.4) 35 (7.2) 19 (4.6) 17 (5.0) 29 (9.1) 9 (2.3) 16 (3.8) 159 (5.8)
No. of equivocal samples (%) 0 6 (1.2) 11 (2.7) 8 (2.4) 25 (7.9) 7 (1.8) 3 (0.7) 60 (2.2)
http://dam.zipot.com:8080/sites/acm/images/fig_KJCM2018_58_01.png

Fig. 1. Helicobacter pylori stool antigen result by age from 2008 to 2014 in a tertiary care hospital. H. pylori stool antigen was tested by ELISA.

혈색소 결과가 있는 2,396명의 환자 중 빈혈 환자는 99명 (4.1%)이었으며, 이 중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은 7명 (7.0%), equivocal은 2명(2.0%)이었다. 빈혈이 없는 환자는 2,297명(95.9%)이었으며, 이 중 대변항원검사 양성은 130명 (5.7%), equivocal은 45명(2.0%)으로 빈혈 환자에서의 양성률과 차이가 없었다.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 equivocal, 음성 환자들의 혈색소는 각각 13.1±1.3 g/dL, 13.1±1.5 g/dL, 13.0± 1.3 g/d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 2,762명 중 혈색소와 ferritin 검사를 모두 시행한 소아는 1,839명(70.6%)이었으며, 이 중 빈혈 환자는 40명(2.2%)이었다. 빈혈 환자 중 염증성 빈혈군은 5명(12.5%), 철결핍성 빈혈군은 24명(60.0%), 미분류 빈혈군은 11명(27.5%)이었다. 빈혈 환자 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은 12.5% (5/40), equivocal 은 2.5% (1/40)였으며, 양성 환자 5명 중 3명은 철결핍성 빈혈,2명은 미분류 빈혈이었다.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 equivocal, 음성 환자에서 ferritin은 각각 40.6±27.9 ng/mL, 45.8±30.1 ng/mL, 56.8±42.0 ng/mL였으며,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 환자에서 음성 환자보다 ferritin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01).

2. 다기관 연구에서 H. pylori 대변항원 양성률

352명의 소아 환자 중 H. pylori 대변항원검사는 양성은 59 명(16.8%)이었다(Table 2). 각 기관별 양성률은 Table 2와 같다. 중앙대학교병원의 양성률이 11.5% (10/87)로 가장 낮았고, 진 천성모병원의 양성률이 33.3% (4/12)로 가장 높았다. 연령별 양성률은 0-6세, 7-12세, 13-18세의 양성률은 각각 20.9% (55/239), 6.3% (4/79), 0% (0/34)였으며, 0-6세의 양성률과 7-12 세의 양성률은 차이가 있었다(P=0.0002). 0-6세 환아들의 나이 별 양성률은 0세 31.3% (25/80), 1세 34.2% (13/38), 2세 22.2% (6/27), 3세 8.8% (3/34), 4세 11.8% (2/17), 5세 18.8% (3/16), 6세 11.1% (3/27)였다.

Table 2

Positive rate of Helicobacter pylori stool antigen by immunochromatographic test of 5 hospitals in 2015

Characteristics Hospitals Total
S E C U J
Tested samples 100 85 87 68 12 352
No. of positive samples (%) 12 (12.0) 22 (25.9) 10 (11.5) 11 (16.2) 4 (33.3) 59 (16.8)

Abbreviations: S, Severance Hospital; E,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C,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U, Uijeongbu St. Mary's Hospital; J, Jincheon Sungmo Hospital.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인 소아 중 빈혈이 있는 소아는 16명(27.1%)이었으며,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음성인 소아 중 빈혈이 있는 소아는 68명(23.2%)으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 대변항원검사 양성인 소아의 혈색소는 12.0±2.2 g/dL였으며, 음성인 소아의 혈색소는 12.3±2.2 g/d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ISCUSSION

2008년에서 2014년까지 소아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양성률은 5.8%로 낮았다. 이는 국내에서 2004년부터 2014년까 지 11년간 만성반복복통을 호소하는 4세부터 16세 소아를 대 상으로 요소호기검사법으로 시행한 H. pylori 감염률인 7.4%와 유사하였다[9]. 이 연구에서 2008년에서 2010년까지는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이 낮아지다가 2012년에는 9.1%로 다 시 높아졌다. 이 기간 동안 대변항원검사를 위한 대변 검체의 채취, 보관, 운송, 검사 일정 등의 변화는 없었으며, 대상 환자 군의 변화도 없었다. 또한 검사 시약 및 검사 방법은 동일하였 으며 내부정도관리 결과 및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CAP)에서 시행하는 외부정도관리 결과에도 문제점은 없었다. 2012년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양성률이 높아진 원인이 검사실 문제인지 실제 환자 유병률의 변화인지에 대해서는 추 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이 연구에서 단일기관 소아 환자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이 연령군에 따라 높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1998년 혈청학적 방법을 이용해 전 연령층을 포함하는 전국 규 모 H. pylori 역학 연구가 있었다[10]. 어머니로부터 태반을 통 해 받은 H. pylori IgG가 관찰되는 생후 6개월까지의 양성률을 제외하면, 혈청학적 양성률은 생후 7-11개월 7.4%, 1-3세 6.0%, 4-6세 11.5%, 7-9세 12.7%, 10-12세 27.3%, 13-15세 31.1%로 나이에 따라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소아에서 나이에 따라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이 증가하는 것은 매년 H. pylori 감 염이 꾸준히 발생하였다기보다는, 주로 만 5세 이하에서 감염 이 일어나 일생 동안 지속되는 코호트 효과로 보는 시각이 많 다[11,12].

단일기관 연구와 달리 다기관 연구에서는 연령별 양성률 증 가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0-6세 환아들에서 더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이는 기존 국내 보고[9,11,12]들의 결과와도 상이한 점 이다. H. pylori 감염 유병률은 연령, 지역 분포, 검사 방법에 따 라 차이가 있으며, 경제 여건, 위생 환경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3]. 최근의 국내 소아 보고에서 0-6세에서 H. pylori 유병률이 10% 미만이었던 점을 고려하면[9,10], 이 연구에 서 관찰된 20.9%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은 매우 높 았다. 외국에서 H. pylori 항원검사용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 검 사 시약의 특이도는 85.5-100%로 보고되었다[4,14]. 이 연구에 서 사용한 ASAN Easy Test H.pylori Ag 키트의 성능은 익명화 된 검체를 이용한 한 연구에서 민감도 39.7%, 특이도 98.8%, 양성예측도 47.9%, 음성예측도 64.1%로 보고되었다[15]. 다기 관 연구에서 0-6세 소아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이 높 은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사용한 면역크로마토그 래피법의 소아, 특히 영아에서 특이도 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단일기관 연구에서는 H. pylori 감염 을 배제하기 위해 임상의의 처방에 의해 검사를 실시한 반면, 다기관 연구에서는 일반 대변배양을 위해 의뢰된 검체의 잔여 검체를 사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여 대상군 선정에서 차이가 있 었던 점도 고려하여야 되겠다.

이 연구에서 단일기관 연구와 다기관 연구 모두 빈혈 환자에서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과 빈혈이 없는 소아에서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에 차이가 없었다. 10-15세의 375명 소아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에서 철분 결핍 빈혈이 있 는 경우 31.3%, 철분 결핍 빈혈이 없는 경우 15.5%가 H. pylori 감염 양성이었다고 보고하였다[16]. 937명의 사춘기 학생을 대 상으로 한 연구에서 빈혈군, 저 ferritin 혈증군, 철분 결핍군에 서의 H. pylori 양성률은 각각 34.2%, 29.5%, 35.3%로, 비빈혈 군의 19.6%, 정상 혈청 ferritin군의 19.2%, 그리고 철분 결핍이 없는 군의 19.4%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17]. 기존 연구와 이번 연구의 차이점의 원인을 파악하기는 힘들었지만, 단일기관 연 구가 시행된 3차 병원의 소아 환자군이 상대적으로 중증 환자 가 많은 특성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 소아와 음성 소아에서 혈색소 의 차이는 없었으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 환자에서 음 성 환자보다 ferritin이 유의하게 낮았다. 6-12세의 753명을 대 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 H. pylori 감염 양성일 경우 혈청 ferritin이 유의하게 낮았고 철분 결핍의 유병률은 높았다[18]. H. pylori 감염의 유병률은 빈혈이 있는 영유아에서 빈혈이 없는 영유아와 차이가 없었지만 철결핍성 빈혈군에서 균 감염 여부 에 따라 혈청 ferritin과 혈색소가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보아 균 감염이 철 결핍 상태를 악화시켰을 수는 있다[19].

이 연구의 가장 큰 한계점은 H. pylori 감염 진단을 위한 표 준진단법(gold standard)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최근 H. pylori 진단의 표준법으로는 조직을 이용한 분자진단이 제안되 고 있다[20]. 표준진단법을 기준으로 면역크로마토그래피를 이 용한 H. pylori 대변항원검사의 성능 평가가 추가로 필요할 것 이다. 두 번째 제한점은 단일기관 연구의 경우 혈색소 또는 ferritin 결과가 없어 분석에서 제외된 환자가 있는 점이다. 빈혈이 의심되지 않는 복통 환자에서 일반혈액검사를 생략하는 경우 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는 이 연구에서 철결핍성 빈혈의 혈청 지표로 저장 철인 ferritin을 사용하였는데, 균 감염 자체만으로 급성 활성 물질인 ferritin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H. pylori 감염과 철결핍성 빈혈의 연관성에 대한 지표로서 제 한이 있을 수 있다. 네 번째는 여아들의 월경의 유무, 영양학적 상태, 식이 등의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제한점이 있었다. 다기 관 연구의 경우 단일기관 연구와 달리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나이에 따른 정확한 성능 자료가 없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2008년에서 2014년까지 단일기관 소아 환자에 서 H. pylori 대변항원 양성률은 5.8%였으며, 연령군에 따라 양 성률이 증가하였다. 빈혈 환자에서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과 빈혈이 없는 소아에서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 률에 차이가 없었다.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 소아와 음성 소아에서 혈색소의 차이는 없었으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 환자에서 음성 환자보다 ferritin이 유의하게 낮았다. 다기 관 연구에서는 0-6세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이 높 았으나, 빈혈 환자에서의 양성률과 빈혈이 없는 소아에서의 양 성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H. pylori 감염과 철 결핍 상태와의 연 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혈색소와 ferritin 검사 결과와 H. pylori 대변항원검사와의 다기관 비교가 필요하겠다.

In the remaining 5 groups encompassing 21 patients, the two tests showed equal positive rates. Taken together, among the 396 cases who had clinic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possible GI bleeding, the combination of two tests increased the sensitivity up to 49.0% (194/396) compared with that of FIT Hb only (39.4%, 156/396) with a small decrease in specificity (from 98.1% to 96.4%) (Table 4).

The distribution of the clinical conditions in the remaining 720 patients was as follows: hematologic disease (n=259); various infections (n=110) including pneumonia, sepsis, urinary tract infections, and acute pyelonephritis, brain stroke (n=69); non-GI tract cancer (n=60); renal disease (n=31); heart disease (n=26); and various other conditions (n=165). Among the 720 patients, the patient with hemorrhagic cystitis and another with post kidney transplantation state with iron deficiency anemia showed positive results with both tests. We regarded these two cases as true positives. Discordant positive results were observed in 22 cases (12 cases with FIT Hb and 10 cases with FIT Tf, respectively).

DISCUSSION

First, FIT Hemoglobin NS-Prime and FIT Transferrin NS-Prime (AlfresaPharma) showed high specificity in health check-ups (100% and 99.6%, respectively),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kits (Inverness Clearview ULTRA iFOB,Alere Clearview iFOB Complete, Polymedco OC-Light iFOB, Quidel QuickVue, iFOB, PolyMedco OC FIT-CHEK) evaluated in previous studies (88-95%) [10,11]. Younger age in our study (mean age of 43.9 year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mean age of 56.9 years and 64.2 years) might also have resulted in a higher specificity.

Among the 1,116 clinical specimens, the overall positive rate of FIT Hb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IT Tf (15.2% vs. 13.5%) (P=0.08). Combining the two tests, 220 (19.7%) cases tested positive with either FIT Hb or FIT Tf. The two tests showed moderate strength of agreement (kappa value; 0.56) and the combination of the two tests increased the positive rate up to 19.7%. Using the same method as this study, Takashima et al. [9] also reported that the positive rate increased from 6.7% to 10.1% following the addition of FIT Tf to FIT Hb in colorectal screening of 12,255 healthy subjects.

According to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GI cancer (n=148) was the largest group undergoing FOBT, however, the positive rate was low (10.1%, 15/148), because most of the patients (98.0%, 145/148) were on the follow-up after therapeutic resection. Among the 15 specimens, which showed positive results with either test, the positive rate of FIT H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T Tf (93.3%, 14/15 vs. 46.7%, 7/15, respectively). This result was in line with a previous study of Chen et al. [12], in which IFOBT (WHPM, Inc., Irwindale, CA, USA) showed higher sensitivity than fecal Tf dipstick for the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 and premalignant lesions (96% vs. 92% for colorectal cancer, 58% vs. 50% for precancerous lesion). However, Sheng et al. [13] reported that the sensitivity of fecal Tf dipstick was higher than that of IFOBT in colorectal cancer and premalignant lesions (76% vs. 61%). The differences in these studies might be derived from the difference in target population because while the tests were done as a cancer screening in previous studies, in our study, the tests were done as a follow up study after therapeutic resection. The other reason might be the difference in the test kits used.

The second and the third largest groups including colitis and AGE accounted for 7.2% (154/1,116) of all the clinical specimens submitted for FOBT, suggesting that GI symptoms such as abdominal pain or diarrhea were also a major indication of FOBT. The positive rate was the highest in these two groups (72.3% and 54.7%) and FIT Tf showed higher positive rates than FIT Hb (87/154 vs. 77/154). The higher positive rate of FIT Tf might be attributed to the higher stability of Tf and resistance to digestive enzymes and bacterial degradation [7]. A bloody stool can be seen in bacterial diarrhea but not in viral diarrhea [1], and therefore, FOBT may aid clinicians in the identification of patients requiring hospitalization [14], pathogen testing, and initiation of optimal antibiotic therapy. Further evaluation using FIT Tf involving enterocolitis of various causes is needed.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evaluated fecal transferrin in specimens from premature babies. In premature babies, NEC, infectious colitis, congenital gut anomalies, bleeding disorders, vascular malformations, and specific medications are the common causes associated with GI bleeding [15,16]. Four out of nine cases showed positive results only with FIT Tf and two cases tested positive in both tests (positive rates of FIT Tf and FIT Hb were 100% and 33.3%, respectively, P=0.05). In addition, the fecal Tf levels of the latter two cases (5,104 ng/mL and 5,757 ng/mL)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ases (3,077 ng/mL, 545 ng/mL, 224 ng/mL and 151 ng/mL). Although Tf concentration is known to be lower in younger children and lower GA [17,18], FIT Tf was still more sensitive than FIT Hb in detecting fecal occult blood in premature babies. Our finding is in line with a previous study where routine FOBT targeting of fecal Hb adopted by many NICUs, did not predict NEC in very low-birth weight neonates [19]. We presume that it might be related to differences in globin components of fetal and adult Hb, because fetal Hb consists of 60-90% of total Hb until 1 month of age [20]. Considering the relatively high prevalence (5-6%) of NEC in babies with very low birth weight (<1,500 grams), further studies investigating the utility of fecal TF in this population are imperative.

In summary, based on our study, both FIT Hb and FIT Tf were highly specific, and showed moderate correlation (rs= 0.601, P<0.05) and low PPA (9.1%). According to the clinical conditions, FIT Hb was more sensitive to detecting non-infectious GI bleeding such as GI ulcer, cancer and anal bleeding, while FIT Tf was more sensitive for infectious GI bleeding such as colitis and acute gastroenteritis.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s of both Hb and Tf can vary from person to person, so the use of both markers will be helpful to diminish the effect of individual variation [7]. Therefore, we hypothesize that testing FIT Hb alone is not sufficient to detect GI bleeding, and the concurrent use of FIT Tf is essential to improve the detection of GI bleeding, especially in patients with colitis, gastroenteritis and premature babies.

요약

배경: 소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은 위장관 증상 외에 철겹핍성 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 추세와 H. pylori 대변항원검사 결과와 빈혈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지역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0-18세 소아를 대상으로 시행된 2,762건의 H. pylori 대변 항원검사[EZ-STEP H. pylori Ag ELISA (Dinona Inc., Korea)]의 연도별, 연령별 양성률과 혈색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 다. 또한, 2015년 1-5월 서울 지역 3차 의료기관 3곳, 경기 지역 2차 의료기관 1곳, 충북 지역 2차 의료기관 1곳의 소아에 서 얻은 352검체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ASAN Easy Test H. pylori Ag 키트(Asan Pharm. Co., LTD., Seoul, Korea)] 결과 와 혈색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2008-2014년까지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은 5.8%였으며, 2012년에 9.1%로 가장 높았고 2013년에 2.3%로 가 장 낮았다. 연령별 양성률은 0-6세는 2.9%, 7-12세 5.8%, 13-18세 10.6%로 연령군에 따라 양성률이 증가하였다(P< 0.0001). 빈혈 환자에서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7.0%)과 빈혈이 없는 소아에서의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 (5.7%)에 차이가 없었다.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 음성 환자에서 ferritin은 각각 40.6±27.9 ng/mL, 56.8±42.0 ng/mL로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 환자에서 음성 환자보다 ferritin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01). 다기관 연구에서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률은 16.8%였다.

결론: 2008년에서 2014년까지 단일기관 소아 환자에서 H. pylori 대변항원 양성률은 5.8%였으며, 연령에 따라 양성률이 증가하였다. H. pylori 대변항원검사 양성 환자에서 음성 환자보다 ferritin이 유의하게 낮아 H. pylori 감염이 철 결핍 상태 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Ann Clin Microbiol 2018;21:58-63]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4년 대한임상미생물학회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Consensus Conference NIH.  Helicobacter pylori in peptic ulcer disease.  NIH consensus development panel on Helicobacter pylori in peptic ulcer disease     

2 JH and Kim JJ Song.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 Korean Med Assoc  2006;49:1017 -25.  

3 JH Kim.  The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4;14:233 -6.  

4 Silva-Etto JMK da, R Mattar, CA Villares-Lopes, SB Marques, FJ Carrilho.  Evaluation of diagnostic accuracy of two rapid stool antigen tests using an immunochromatographic assay to detect Helicobacter pylori.  Clin Biochem  2017;50:959 -62.    

5 RP Fagan, CE Dunaway, DL Bruden, AJ Parkinson, BD Gessner.  Controlled, household-randomized, open-label trial of the effect of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on iron deficiency among children in rural Alaska: results at 40 months.  J Infect Dis  2009;199:652 -60.    

6 G Baysoy, D Ertem, E Ademoglu, E Kotiloglu, S Keskin, E Pehlivanoglu.  Gastric histopathology, iron status and iron deficiency anemia in children wit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4;38:146 -51.    

7 C Hershko, M Ianculovich, M Souroujon.  A hematologist’s view of unexplained iron deficiency anemia in males: impact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Blood Cells Mol Dis  2007;38: 45 -53.    

8 BI Malope, AP MacPhail, M Alberts, DC Hiss.  The ratio of serum transferrin receptor and serum ferritin in the diagnosis of iron status.  Br J Haematol  2001;115:84 -9.    

9 KM Jang, BH Choe, JY Choe, SJ Hong, HJ Park, MA Chu, al et.  Changing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s in Korean children with recurrent abdominal pain.  Pediatr Gastroenterol Hepatol Nutr  2015;18:10 -6.      

10 JH Kim, HY Kim, NY Kim, SW Kim, JG Kim, JJ Kim, al et.  Seroepidemiological study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asymptomatic people in South Korea.  J Gastroenterol Hepatol  2001;16:969 -75.    

11 DJ Cullen, BJ Collins, KJ Christiansen, J Epis, JR Warren, I Surveyor, al et.  When is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cquired? Gut 1993;34:1681-2.       

12 N Banatvala, K Mayo, F Megraud, R Jennings, JJ Deeks, RA Feldman.  The cohort effect and Helicobacter pylori.  J Infect Dis  1993;168:219 -21.    

13 B Peleteiro, A Bastos, A Ferro, N Lunet.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worldwide: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with national coverage.  Dig Dis Sci  2014;59:1698 -709.    

14 Nora M Dalla, R Hörner, Carli DM De, MP Rocha, AF Araujo, RB Fagundes.  Is the immunochromatographic fecal antigen test effective for primary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dyspeptic patients? Arq Gastroenterol 2016;53:224-7.     

15 DW Jekarl, JK Kim, HK Lee, JH Sung, H Kim, EJ Cho, Y Kim, YJ Park.  Clinical evaluation of BioTracer TM H.  pylori Rapid card and BioTracer TM H 

16 YH Choe, SK Kim, YC Hong.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with iron deficiency anaemia and subnormal growth at puberty.  Arch Dis Child  2000;82:136 -40.      

17 YH Choe, SK Kim, YC Ho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iron deficiency: seroprevalence study in 937 pubescent children.  Arch Dis Child  2003;88:178      

18 JK Seo, JS Ko, KD Choi.  Serum ferritin and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a sero-epidemiologic study in Korea.  J Gastroenterol Hepatol  2002;17:754 -7.    

19 MH Son, JS Yeom, JS Park, ES Park, JH Seo, JY Lim, al et.  Relationship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irondeficiency anemia in infants and children.  Korean J Pediatr  2009;52:544 -8.  

20 SK Patel, CB Pratap, AK Jain, AK Gulati, G Nath.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what should be the gold standard? World J Gastroenterol 2014;20:1284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