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김, Park, 박, Hwang, 황, Lee, 이, Song, 송, Lee, 이, Lee, 이, Kim, 김, Kim, 김, Shin, 신, Hong, 홍, Shin, 신, Kim, 김, Ryoo, 류, Lee, 이, Jang, 이, Shin, and 신: Serotyping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Isolated in Korea in 2015

Si Hyun Kim1Eun Hee Park2In Yeong Hwang2 Hyukmin Lee3Sae Am Song4Miae Lee5Seungok Lee6Soo Young Kim6Jin Ju Kim7Jong Hee Shin8Seong Geun Hong9Kyeong Seob Shin10Sunjoo Kim11Nam Hee Ryoo12Woonhyoung Lee13Sook Jin Jang14Jeong Hwan Shin*415

1Department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Semyung University, JecheonKorea
2Department of Infectious Disease,Busan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Busan,Korea
3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Korea
4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Korea
5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Korea
6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Korea
7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cheon,Korea
8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Korea
9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CHA Bundang Medical Center, CHA University, Seongnam,Korea
10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eongju,Korea
11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JinjuKorea
12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aeguKorea
13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Korea
14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GwangjuKorea
15Paik Institute for Clinical Research, Inje University, Busan,Korea
16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oramae Medical Center, SeoulKorea


*Corresponding author: Tel: +82-51-890-6475,, Fax: +82-51-890-8615, E-mail: jhsmile@inje.ac.kr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ABSTRACT

Background: Salmonella is an important pathogen that causes gastroenteritis and sepsis in humans. Recently, changes in serotype prevalence and an increase in antimicrobial resistance have been repor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Salmonella serotypes and determined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various strains. Methods: We collected 113 Salmonella isolates other than Salmonella serotype Typhi from 18 university hospitals in 2015. The serotypes were identified by Salmonella antisera O and H according to the Kauffman White schem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for 12 antibiotics were performed using the disk diffusion method or E-test. Results: We identified 22 serotypes. Serotype group B (44.2%)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groups C (34.5%) and D (21.2%). Salmonella I 4,[5],12:i:- (23.0%), S. Enteritidis (16.8%), and S. Typhimurium (12.4%) were the most common species. Resistance rates for ampicillin, chloramphenicol, ceftriaxone,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were 46.9%, 18.5%, 8.8%, and 5.3%, respectively. The intermediate resistance rate to ciprofloxacin was 29.2%. Six isolates were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 producers, including 5 blaCTX-M-15 and 1 blaCTX-M-55. Conclusion: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serotype prevale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almonella in Korea, with a high prevalence of CTX-M 15-positive strains. Continuous monitoring of Salmonella serotyp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is warranted. (Ann Clin Microbiol 2019;22:55-60)

Keywords



INTRODUCTION

살모넬라균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대표적인 수인성, 식품매 개질환 원인병원체로 위장염,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인수공통 병원체이다[1]. 살모넬라균은 Salmonella entericaSalmonella bongori의 두 종으로 구성되며, 균체항원(O-antigen)과 두 종류 의 편모항원(H-antigen)에 의해 약 2,500여 종의 혈청형으로 이 루어져 있다.

국내에서는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감염증의 증가, 특히 소 아에서 위장관염 및 침습성 감염의 증가가 보고된 바 있다[2]. 국내에서는 오랫동안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에 의한 식중독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나[3], 1996년 이후 S. Enteritidis 혈청형이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살모넬라 균은 매년 다양한 혈청형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특이 혈 청형에 의한 집단 환자발생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 서 지역별 및 환경적 요인에 의한 혈청형 분리율의 차이를 확 인하고 새로운 살모넬라 혈청형을 확인하기 위하여 살모넬라 균의 혈청형 동정은 필수적이다

살모넬라 감염증은 건강한 성인에서는 단순한 위장관염의 경우 일시적 감염 후 자연적인 회복도 가능하지만 영유아 등의 경우 치명적이어서 항균제 치료가 필수적이다. 전통적으로 사 용되어 온 항균제로는 ampicillin, chloramphenicol, trimethoprim- sulfamethoxazole 등이 있으며, 내성의 증가로 인해 치료 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4]. Fluoroquinolone과 3세대 cephalosporin 항균제는 침습성 살모넬라 감염증의 1차 약제로 사용 되고 있으나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을 생산하 는 살모넬라에 의한 감염증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5,6]. ESBL에 의한 내성은 플라스미드를 통해 전파가 가능하며, quinolone 제제를 사용할 수 없는 소아에서 발생할 경우 치료 실 패의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된다[7].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국내에서 분리된 살모넬라균을 대상 으로 혈청형의 분포와 항균제 내성률을 조사하고 ceftriaxone에 내성을 보이는 살모넬라균을 대상으로 ESBL의 유전형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CASE REPORT

2015년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를 포함한 전국 18개 대 학병원에서 분리된 113주의 장티푸스 혈청형을 제외한 살모넬 라 균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균주는 Vitek 2 system (bioMerieux, Inc., Marcy l’Étoile, France)을 이용하여 재동정하 였으며, 혈액한천배지를 이용하여 재배양 후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70°C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살모넬라균의 혈청형은 Kauffman White scheme에 따라 균 체 항원과 두 종류의 편모항원을 검사하였다. Salmonella O antisera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parks, MD, USA)를 이용하여 O 항원을 결정한 후 Salmonella H antisera (Becton, Dickinson and company)에 대한 응집반응을 확인하여 H 항원 을 결정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디스크 확산법(Becton, Dickinson and company) 또는 E-test (bioMerieux, Inc.)를 이용 하였고,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 지침 에 따라 판정하였다[8]. 검사에 이용한 항균제는 총 12종으로 amoxicillin-clavulanic acid, ampicillin, amikacin, azithromycin, ciprofloxacin, ceftriaxone, chloramphenicol, gentamicin, imipenem, nalidixic aci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etracycline 이었고 ciprofloxacin은 E-test로 검사하였다. Escherichia coli ATCC 25922를 정도관리 균주로 이용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시험 결과 ceftriaxone에 내성 및 중등도 내성 을 보이는 경우 ESBL 유전형 검사를 시행하였다. 가열추출법 으로 핵산을 분리하였다. ESBL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blaCTX-M-1, blaCTX-M-2, blaCTX-M-9, blaCTX-M-25형 유전자를 대상으 로 PCR을 시행하였으며, 각 유전자에 대한 primer 서열 및 증 폭물의 크기는 Table 1과 같다. PCR 반응 조건은 94°C에서 5 분간 DNA를 변성시킨 후 94°C 30초, 56°C 20초, 72°C 40초를 1 cycle로 하여 30회 반복한 후 72°C에서 7분간 두었다. 2% agarose gel을 이용하여 전기 영동 후 해당 유전자에 대한 증폭 물이 확인되면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내성유전자를 확인하였다.

Table 1

Primers used for PCR amplification and sequencing of ESBL genes

Target gene Primer name Primer sequences (5’-3’) Amplicon size (bp)
blaCTX-M-1 CTX-M-1 F GACTATTCATGTTGTTGTTAWTTC 973
CTX-M-1 R TAAGGCGATAAACAAAAACGGA
blaCTX-M-2 CTX-M-2 F GAGGGATAATACTAATAGAGGA 964
CTX-M-2 R CTGAAGTTCAGGAGCACATT
blaCTX-M-9 CTX-M-9 F GAATACTGATGTAACACGGATT 962
CTX-M-9 R CTGATCCTTCAACTCAGCAA
blaCTX-M-25 CTX-M-25 F GGAATTTAGGCTTCACTCAC 972
CTX-M-25 R TTAGAATACAAATAGTAAGTGGAG

RESULTS

수집된 113주의 살모넬라는 stool (n=55)과 blood culture (n=36)에서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gastrointestinal tract (n=3), urine (n=2), sputum (n=1), other (n=3) 순으로 나타났으 며 13주는 분리된 검체를 알 수 없었다. 살모넬라의 혈청군은 B군이 44.2% (50/113)로 가장 많았으며, C군이 34.5% (39/113), D군이 21.2% (24/113)였다. 분리된 살모넬라균의 주 요 혈청형은 Salmonella I4,[5],12:i:-이 23.0% (n=26), S. Enteritidis가 16.8% (n=19), S. Typhimurium이 12.4% (n=14)로 전체 균주의 52.2% (n=59)를 차지하였다(Table 2). B군에서는 S. Stanley와 S. Agona가 각각 4주와 2주 분리되었고, S. Paratypi B도 2주 분리되었다. C군은 혈청형의 분포가 가장 다 양하여 총 13종의 혈청형이 분리되었으며, S. Bareilly가 9주, S. Infanis, S. Thompson, S. Virchow가 각각 5주씩 분리되었다.

Table 2

Serogroup and serotype distribution of Salmonella isolates

Serogroup B Serogroup C Serogroup D
Serotype No. (%) Serotype No. (%) Serotype No. (%)
I 4,[5],12:i:- 26 (23.0) Bareilly 9 (8.0) Enteritidis 19 (16.8)
Typhimurium 14 (12.4) Infantis 5 (4.4) Panama 5 (4.4)
Stanley 4 (3.5) Thompson 5 (4.4)
Agona 2 (1.8) Virchow 5 (4.4)
Paratyphi B 2 (1.8) Rissen 4 (3.5)
Agama 1 (0.9) Narashino 3 (2.7)
Saintpaul 1 (0.9) Montevideo 2 (1.8)
II 6,7:g,[m],s,t:[z42] 1 (0.9)
Bardo 1 (0.9)
Dabou 1 (0.9)
Hindmarsh 1 (0.9)
Livingstone 1 (0.9)
Mbandaka 1 (0.9)

분리된 살모넬라균의 항균제 내성은 Table 3과 같다. 전체 살모넬라균의 내성률은 ampicillin이 46.9%, chloramphenicol이 18.6%, ceftriaxone이 8.8%,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이 5.3%였고, ciprofloxacin에는 내성인 균주가 검출되지 않았다. 혈청형별로 항균제 내성에 차이를 보였는데, Salmonella I4,[5],12:i:- (n=26)의 경우 ampicillin에서 96.1% (n=25)로 가장 높은 내성률을 보였으며, ampicillin에 내성인 전체 균주 중 47.2%를 차지한 반면, ceftriaxone,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는 모두 감수성이었다. S. Enteritidis (n=19)는 ampicillin, chloramphenicol, ceftriaxone에 각각 36.8% (n=7), 47.4% (n=9), 21.0% (n=4)의 내성률을 보였으며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서는 내성을 보이지 않았다. S. Typhimurium (n=14) 은 ampicillin 64.3% (n=9), chloramphenicol 21.4% (n=3), trimethoprim- sulfamethoxazole 14.3% (n=2), ceftriaxone 7.1% (n=1) 에서 내성이었다. S. Bareilly의 경우 9주 중 2주에서(22.2%) ampicillin, ceftriaxone에 모두 내성을 보이고 다른 항균제에는 내성을 보이지 않았다. S. Rissen과 S. Virchow의 경우 ampicillin에 대한 내성률은 75.0% (n=3)와 60.0% (n=3)로 높았지만 S. Virchow는 ceftriaxone 내성률이 60% (n=3)였고, S. Rissen은 모두 감수성이었다. S. Infantis (n=5), S. Thompson (n=5), S.Narashino (n=3), S. Agona (n=2), S. Bardo (n=2), S. ParatyphiB (n=2), S. Livingstone (n=1), S. Mbandaka (n=1), S. Saintpaul (n=1) 및 Salmonella II6,7:g,[m],s,t:[z42] (n=1)의 경우 모든 항 균제에 내성을 보이지 않았다.

Table 3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by Salmonella serotype

Serotype No. AMC AMP CC IPM CRO GEM AMK TET SXT NA AZI CIP
I 4,[5],12:i:- 26 1 (3.9) 25 (96.1) 2 (7.7) 0 (0) 0 (0) 0 (0) 0 (0) 24 (92.3) 0 (0) 0 (0) 0 (0) 0 (0)
Enteritidis 19 1 (5.3) 7 (36.8) 9 (47.4) 0 (0) 4 (21.0) 1 (5.3) 0 (0) 4 (21.0) 0 (0) 19 (100) 0 (0) 0 (0)
Typhimurium 14 2 (14.3) 9 (64.3) 3 (21.4) 0 (0) 1 (7.1) 2 (14.3) 0 (0) 10 (71.4) 2 (14.3) 3 (21.4) 0 (0) 0 (0)
Bareilly 9 2 (22.2) 2 (22.2) 0 (0) 0 (0) 2 (22.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Infantis 5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Panama 5 0 (0) 2 (40.0) 2 (40.0) 0 (0) 0 (0) 0 (0) 0 (0) 2 (40.0) 2 (40.0) 0 (0) 0 (0) 0 (0)
Thompson 5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Virchow 5 0 (0) 3 (60.0) 0 (0) 0 (0) 3 (60.0) 0 (0) 0 (0) 3 (60.0) 0 (0) 5 (100) 0 (0) 0 (0)
Rissen 4 0 (0) 3 (75.0) 3 (75.0) 0 (0) 0 (0) 0 (0) 0 (0) 4 (100) 1 (25.0) 1 (25.0) 0 (0) 0 (0)
Stanley 4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25.0) 0 (0) 0 (0)
Narashino 3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Agona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Montevideo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50.0) 0 (0) 0 (0)
Paratyphi B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Others* 8 0 (0) 2 (25.0) 2 (25.0) 0 (0) 0 (0) 0 (0) 0 (0) 1 (12.5) 1 (12.5) 2 (25.0) 0 (0) 0 (0)
Total 113 6 (5.3%) 53 (46.9%) 21 (18.6%) 0 (0%) 10 (8.8%) 3 (2.7%) 0 (0%) 48 (42.5%) 6 (5.3%) 32 (28.3%) 0 (0%) 0 (0%)

*II 6,7:g,[m],s,t:[z42], Agama, Bardo, Dabou, Hindmarsh, Livingstone, Mbandaka, Saintpaul.

Abbreviations: AMC, amoxicillin-clavulanate; AMP, ampicillin; CC, chloramphenicol; IPM, imipenem; CRO, ceftriaxone; GEN, gentamicin; AMK, amikacin; TET, tetracycline; SXT,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NA, nalidixic acid; AZI, azithromycin; CIP, ciprofloxacin.

Ciprofloxacin 내성인 균주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중등도 내 성이 29.2% (n=33)로 높게 나타났다. S. Enteritidis가 84.2% (16/19)에서 중등도 내성이었고 이것은 ciprofloxacin에 중등도 내성을 보이는 33주 중 48.5%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S. Rissen 75.0% (3/4), S. Montevideo 50% (1/2), S. Typhimurium 28.6% (4/14)로 중등도 내성률이 높았으며, S. Agama와 S. Babou는 각각 1주만 수집되었지만 모두 ciprofloxacin에 중등 도 내성을 보였다.

총 113주의 살모넬라균 중 5주(4.4%)가 ampicillin, chloramphenicol, ceftriaxone,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iprofloxacin의 5가지 항균제 중 3가지 이상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 성균이었다. 5주의 다제내성균 모두 ampicillin과 chloramphenicol에 내성을 보였다. 혈청형별로 다제내성률을 비교해 보았을 때 S. Dabou 100% (1/1), S. Panama 40.0% (2/5), S. Typhimurium 14.3% (2/14)로 나타났다. S. Bareilly, S. Rissen, S. Enteritidis는 모두 다제내성균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2가지 이상 항균제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가 각각 100% (4/4), 85.7% (6/7), 70.0% (14/20)로 2가지 이상 항균제에 내성을 보 이는 균주 중 63.2% (24/38)를 차지하였다. Ceftriaxone에 내성 인 10주 중 6주에서 ESBL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ESBL 양성인 6주 중 4주는 S. Enteritidis로 blaCTX-M-15 양성이 3주, blaCTX-M-55 양성이 1주였으며 나머지 2주는 S. Virchow로 모두 blaCTX-M-15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DISCUSSION

살모넬라 혈청형은 나라별, 지역별 차이를 보이며 매년 다양 한 분리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유행 조사가 필요하 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의 살모넬라 혈청형 조사 결과 에 따르면 S. Enteritidis가 49%로 가장 빈도가 높았고, S. Typhimurium과 S. Typhi가 각각 15.8%와 7.9%였다[9]. 질병관 리본부의 보고에 따르면 2011년에 S. Enteritidis (47%)와 S. Typhimurium (14%)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집단발생에 의한 S. Virchow (7%)의 분리율이 증가하였고, 2014년에는 S. Enteritidis (16.7%)가 여전히 가장 높은 분리율을 보였지만 이 전에 비해 분리율이 감소하였으며 집단발생에 의해 S. Thompson (14.4%)과 S. Livingstone (12.8%)의 분리율이 증가하였다 [10,11]. S. Typhimurium의 단상 편모 변이체인 Salmonella I 4,[5],12:i:-는 1977년 스페인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전 세계적 으로 집단발생 사례와 분리율이 증가하고 있다[12]. 본 연구기 관에서 2008년 국내 살모넬라균의 혈청형 분포를 조사하였을 때 Salmonella I4,[5],12:i:-의 분리는 확인할 수 없었지만[13], 2011년 질병관리본부에서 Salmonella I 4,[5],12:i:-의 국내발생 사례를 확인하고 국내 분리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 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14]. 본 연구결과 혈청형 Salmonella I 4,[5],12:i:-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 국내 Salmonella I 4,[5],12:i:-의 분리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 병관리본부의 현황보고에 따르면 고빈도 혈청형은 S. Enteritidis (23.4%), Salmonella I4,[5],12:i:- (12.7%), S. Bareilly (10.7%), S. Typhimurium (8.6%), S. Montevideo (5.6%)의 순으로 분리 되었다[15]. 본 연구결과에서는 Salmonella I4,[5],12:i:-가 23.0%로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고, S. Enteritidis는 16.8% 에서 분리되어 차이가 있었다. 또한 S. Montevideo는 1.8%에서 분리되어 소수로 분리된 반면 S. Infantis와 S. Thompson, S. Virchow, S. Panama가 4.4%로 고빈도 혈청형으로 분리되어 차 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에 대한 정확한 이유는 확인하지 못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균주가 대상이어서 환자군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한다.

분리된 살모넬라속 113균주에 대한 항균제 내성률은 ampicillin, chloramphenicol ceftriaxone,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이 각각 46.9%, 18.6%, 8.8%, 5.3%였고 ciprofloxacin에는 내성인 균주가 검출되지 않았다. 혈청형별 항균제 내성의 차이 를 확인하였을 때, Salmonella I 4,[5],12:i:-의 경우 분리된 26주 중 1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ampicillin에 내성을 보여 96.1%의 높은 내성률을 보였지만 ceftriaxone에 감수성을 보였다. 반면 S. Enteritidis는 ampicilin에는 36.8%의 내성률을 보였지만 ceftriaxone에 21.0%의 높은 내성률을 보였다. 2014년 질병관리본 부 항균제 내성률[11]과 비교해 보았을 때, 전체 ampicillin 내 성률이 32.9%에서 46.9%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혈청형 Salmonella I 4,[5],12:i:-의 분리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Ceftriaxone은 S. Enteritidis 혈청형의 내성 률이 가장 높고 Salmonella I 4,[5],12:i:-은 모두 감수성으로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고 전체 내성률이 3.4%로 본 연구결과인 8.8%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기관의 이전 연구결과와[13] 비교해 보았을 때, ceftriaxone의 내성률은 8.6%로 유사하였다. 다만 S. Typhimurium과 S. Virchow의 경우 2008년에는 모두 내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2015년에서 각각 7.1%와 60.0%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 구에서 수집된 균주 수가 적어 향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확인 이 필요하다. Ciprofloxacin은 주요 혈청형에서 여전히 내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중등도 내성률이 29.2%로 나타나 내성률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ESBL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6균주는 모두 다제내성균은 아니었지만 2가지 이상 항균 제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였으며 S. Enteritidis가 4주로 가장 높 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확인된 ESBL 생산 S. Enteritidis는 이전 결과들과[12,13,16] 유사하게 대부분 blaCTX-M-15형으로 확인되 었지만 1주에서 blaCTX-M-55형이 확인되어 이전 생산주들과는 조금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를 지역별로 구 분하였을 때 각 지역의 혈청형별 균주수가 많지 않아 혈청형 및 내성률 등은 지역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분리된 살모넬라 균주의 혈청형 빈도와 항균제 감수성 패턴에 대해 조사하였다. 주요 혈청형은 여전히 높은 분리율을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혈청형에 의한 감염 또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iprofloxacin의 중등도내성률이 높음을 확인하여 향후 내성이 증가 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ESBL 생산 주요 혈청형의 경우 플라 스미드를 통한 내성전파가 가능하여 병원성이 강한 병원체에 내성이 전달될 경우 지역보건사회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요약

배경: 살모넬라균은 위장염과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체이다. 최근 혈청형의 변화와 항균제 내성의 증가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살모넬라 혈청형의 분포와 항균제 내성률을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2015년, 18개의 전국 병원으로부터 수집된 총 113주의 살모넬라 균주(Salmonella Typhi는 제외)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청형은 Kauffman White scheme에 따라 O 및 H 항혈청 확인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12종의 항균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디스크 확산법 또는 E-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총 113주의 살모넬라에서 확인된 혈청형은 22종이었고 혈청군은 B군이 44.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군이 34.5%, D군이 21.2%였다. 단일 혈청형으로는 Salmonella I 4,[5],12:i:-이 23.0%, S. Enteritidis이 16.8%, 그리고 S. Typhimurium이 12.4%로 빈도가 높았다. 항균제 내성률은 ampicilin이 46.9%, chloramphenicol이 18.5%, ceftriaxone이 8.8%,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이 5.3%였다. Ciprofloxacin의 중등도내성률은 29.2%였다. ESBL 생성 균주는 총 6주였고 5주 는 blaCTX-M-15, 1주는 blaCTX-M-55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Salmonella의 혈청형 변화와 CTX-M 15를 포함한 항균제 내성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살모넬라 혈청형 및 항균제 내성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Ann Clin Microbiol 2019;22:55-60]

REFERENCES

1 PS Mead, L Slutsker, V Dietz, LF McCaig, JS Bresee, C Shapiro, al et.  Food-related illness and death in the United States.  Emerg Infect Dis  1999;5:607 -25.    

2 HJ Lee.  Salmonellosis.  Korean J Clin Microbiol  2001;4:5 -10.

3 HJ Lee.  Serovar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the recent clinical isolates of Salmonella.  Korean J Clin Pathol  1995;15: 422 -9.

4 KW Hwang, BY Oh, JH Kim, MH Kim, S JeGal, EJ Lee, al et.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multidrug resistance patterns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tidis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Incheon.  Korean J Microbiol  2009;45:99 -104.

5 G Arlet, TJ Barrett, P Butaye, A Cloeckaert, MR Mulvey, DG White.  Salmonella resistant to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 prevalence and epidemiology.  Microbes Infect  2006;8:1945 -54.    

6 HS Chung, H Lee, Y Lee, D Yong, SH Jeong, BK Lee, al et.  A Korean nationwide surveillance study for non-typhoidal Salmonella isolated in humans and food animals from 2006 to 2008: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plasmid-mediated AmpC beta-lactamase, and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qnr genes.  Korean J Clin Microbiol  2012;15:14 -20.  

7 V Miriagou, PT Tassios, NJ Legakis, LS Tzouvelekis.  Expandedspectrum cephalosporin resistance in non-typhoid Salmonella.  Int J Antimicrob Agents  2004;23:547 -55.    

8  CLSI.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twenty-fifth informational supplement.  CLSI document M100-S25  25;:

9 S Kim, SH Kim, SG Chun, ES Choi, BK Lee.  Prevalence of Salmonella serovars isolated from domestic residents and overseas travelers in Korea, 2004~2005.  J Bacteriol Virol  2006;36:69 -72.  

10 HM and Lee DY Park.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Salmonella spp.  in Korea,  , 2011;:

11 YS Yun, SJ Chae, DY Lee, CK Yoo.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Salmonella spp.  in Korea,  , 2014;:

12 KH Lee, W Song, SH Jeong, KY Choi, HS Yoon, MJ Park.  Case report of pediatric gastroenteritis due to CTX-M-15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producing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Enteritidis.  Korean J Lab Med  2009;29:461 -4.    

13 JY Lee, JA Kim, HS Jeong, JH Shin, CL Chang, J Jeong, al et.  Serotyping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spp.  : nationwide multicenter study in Korea     

14 DY Lee, E Lee, JE Min, SH Kim, HB Oh, MS Park.  Epidemic by Salmonella I 4,[5],12:i:- and characteristics of isolates in Korea.  Infect Chemother  2011;43:186 -90.  

15 YS Yun, DY Lee, GT Chung.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Salmonella spp.  isolated in Korea,  , 2015;:

16 OG Kweon, JS Kim, GO Kim, CI Lee, KH Jeong, J Kim.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spp.  clinical isolate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2013;: